본문 바로가기
패스트캠퍼스/프론트엔드 아카데미 : 제 1강 JavaScript & TypeScrip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1일차 : 김민태의 프론트엔드 아카데미 : 제 1강 JavaScript & TypeScript Essential 강의 후기

by Tan- 2025. 7. 31.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https://fastcampus.info/4n8ztzq


250731(목) 31일차
문법 - 튜플

 

튜플 : 배열보다 더 엄격하고 안전한 구조

타입스크립트의 독특한 데이터 구조인 튜플(Tuple)

튜플은 자바스크립트에는 없는 타입스크립트만의 기능으로, 배열과 유사하지만 원소의 개수와 각 위치의 타입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

 

배열과 튜플의 차이

일반 배열은 요소 개수나 순서에 제한없이 자유롭게 값을 넣을 수 있지만

튜플은 각 위치에 어떤 타입의 값이 들어올지를 명시하고

개수까지 고정함으로써 정적 타입 검사에 강력한 이점을 제공한다.

const address: [number, string, string] = [12345,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튜플을 사용하면 특정 위치의 값이 잘못 들어왔을 때 타입스크립트가 에러를 바로 잡아주기 때문에

구조 분해 할당을 하거나 리턴값을 다룰 때 예상치 못한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실무에서의 활용법 - 구조화된 데이터, 리턴값, 타입 정의 등

- 복잡한 데이터 셋의 각 요소 타입을 명확히 하고자 할 때

- 여러 값을 리턴하는 함수에서 각 값의 타입과 위치를 고정하고자 할 때

- 배열 내부에 또 다른 고정 구조(튜플)를 갖는 상황

 

[string, string, number] 형태의 튜플을 배열로 여러 개 관리하면 모든 원소의 규격을 유지한 채 안전하게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함수의 반환값을 튜플로 지정하면 호출 측에서의 타입 안정성도 향상된다.

 

튜플을 처음 봤을 땐 단순한 배열 확장처럼 느껴졌지만

강의를 통해 그 타입 안정성과 구조 표현력의 강력함을 느낄 수 있었고

특히 리턴값이나 정형화된 데이터 구조를 다룰 때 튜플은 생각보다 훨씬 자주 쓸 수 있다

단순한 문법을 넘어서 용법에 따라 응용력이 극대화되는 타입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보면 좋을듯

또한 배열처럼 push나 구조 분해 할당도 가능하되, 정해진 타입과 순설ㄹ 따르기 때문에 자유도보다는 명확성이 중요한 상황에 특히 유용하다는 점을 기억해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