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https://fastcampus.info/4n8ztzq
250711(금) 11일차
문법 - 식별자
식별자
MDN에서의 식별자 : 코드 내 변수, 함수, 속성 등을 식별하는 문자열
쉽게 말하면 이름을 붙이는 규칙
let age = 10;
let : 키워드 / age : 식별자(변수 이름) / 10 : 데이터
식별자의 규칙
- 대소문자를 구별한다(Age와 age는 다르다)
- 유니코드 문자, $, _, 숫자 사용 가능(단, 숫자로 시작할 수는 없음)
- 공백은 포함할 수 없음
- 길이에 제한은 없음
- 식별자는 코드의 일부, 문자열은 단순 데이터
식별자와 문자열 차이
식별자는 코드의 일부지만, 문자열은 데이터
let user = 'kim'
user : 식별자 / 'kim' : 문자열
데이터 → 식별자화
데이터는 코드처럼 쓸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객체의 속성명을 문자열로 지정하면 데이터를 코드처럼 사용할 수 있다
const o = {
['123my Name']: '김'
}
'123my Name'은 자바스크립트의 식별자 명명 규칙에 어긋나지만
문자열로 된 속성명은 브래킷 표기법 [ ]을 통해 사용 가능
접근시에도 o['123my Name'] 처럼 데이터로 접근해야 한다
식별자 이름 짓는 법
문법은 어렵지 않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의미
식별자는 이름이기 때문에 읽는 사람이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짓는 것이 가장 중요
- 변수 : 어떤 데이터를 담고 있는지 드러낼 것 : userAge, postList, isVisible
- 함수 : 어떤 동작을 하는지 드러낼 것 : calculaterTotal()
- 속성 : 객체 내에서의 역할을 표현할 것 : user.name
개발자의 관습
꼭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개발자들이 따르는 작명 규칙
- 상수 : 대문자
- 변수/함수 : 카멜케이스 : userList
오늘 강의는 문법 강의
식별자라는 개념에 대해 처음부터 짚어주는 시간
처음엔 변수명, 함수명만 생각했지만
데이터와 코드 사이의 경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키워드라는 것을 알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