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https://fastcampus.info/4n8ztzq
250713(일) 13일차
문법 - 값(Value)
JavaScript의 기본 자료형
MDN 기분으로 JavaScript는 다음 6가지 기본 자료형을 갖고 있다
- Boolean : true / false
- Null : 값이 없다
- Undefined: 값이 정의되어 있지 않음 (JS 특유의 타입)
- Number: 정수, 실수 모두 포함 (하나의 타입으로 처리)
- String: 문자열
- Symbol: ES6에서 추가된 고유한 식별자
+ Object
배열, 함수, 날짜, 정규표현식 등 기본형 외 모든 것은 사실상 Object
배열도 값, 함수도 값이라는 것
JavaScript는 단순한 데이터를 넘어서 코드조차도 값으로 다룬다
TypeScript
TypeScript는 JavaScript의 슈퍼셋이므로
기본 타입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여기에 훨씬 더 풍부한 타입 체계를 얹는다
-Tuple: 정해진 개수와 타입을 갖는 배열 ([string, number])
-Enum: 열거형 상수 (값과 이름을 매핑)
-Any: 어떤 타입이든 허용 (타입 안전성 ↓)
-Void: 주로 반환값이 없는 함수에 사용
-Never: 절대 반환하지 않는 함수 타입 (예: 무한루프, throw 등)
튜블과 enum은 JavaScript에는 없는, TypeScript에서만 지원하는 확장 기능
튜플, 배열
튜플은 배열처럼 생겻지만 타입과 길이가 고정된다
순서도 중요하고 각각의 타입도 지정할 수 있다
배열보다 엄격해서 특정 구조를 강제할 때 유용하다
enum
enum은 열거형 상수를 정의할 때 사용
내부적으로는 JavaScript의 객체처럼 컴파일된다.
하지만 객체는 순수 데이터, enum은 코드의 일부로 취급된다
enum은 주고받는 데이터 형태로 쓰기보다는 내부코드 전용 상수 정의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
오늘 강의는 JavaScript와 TypeScript에서의 데이터 타입을 정리하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