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https://fastcampus.info/4n8ztzq
250716(수) 16일차
문법 - 식(연산 또는 계산)
식 (Expression)
10 + 20 // 30
'Hello' + 'World' // 'HelloWorld'
하나의 값으로 수렴하는 코드
즉, 식은 곧 값이고 값은 곧 식
문 (statement)
if (x > 10) {
console.log('크다');
}
문은 명령, 결과가 값이 아닌 것은 문
값으로 환원되지 않는 코드(ex, 조건문, 반복문 등)
연산자
식에서 계산을 정의하는 도구
산술 연산자 : +, -, *, /
비교 연산자 : ===, !==
논리 연산자 : &&, ||, !
타입 연산자 : typeof
삼항 연산자 : ? :
구조 분해 할당
const colors = ['red', 'yellow', 'black'];
const [ , yellow ] = colors;
console.log(yellow); // 'yellow'
배열 : [ ] / 객체 : { }
위치 기준 or 이름 기준으로 값을 쉽게 꺼내 쓸 수 있다
일치 연산자 ===
자바스크립트의 느슨한 타입 때문에 생기는 대표적인 버그 유발 요소 ==이므로
일치 연산자 ===를 쓰는 것이 좋은 습관
삼항 연산자
const msg = age > 20 ? '성인' : '청소년';
조건이 참이면 ? 뒤의 값
아니면 : 뒤의 값
typeof
typeof 'hello' // 'string'
typeof 123 // 'number'
typeof {} // 'object'
간단한 타입 검사용으로는 좋지만
객체의 세부 타입은 구별 못함
연산자 우선순위
연산자 우선순위를 다 외우는 사람은 없고
괄호로 명확하게 지정해주기 == 좋은 습관
괄호의 특수한 기능
(function() {
console.log('Hi');
})
괄호는 연산 우선 순위뿐만 아니라 코드를 값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번 식(연산 또는 계산) 강의를 통해 기본 개념과 안정성 있게 코딩하는 팁을 꽤 많이 얻었다
자바스크립트의 느슨한 타입 시스템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